목록항해99 (24)
항해일지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여러 개의 변수를 한 번에 선언해 다룰 수 있는 자료형을 배열이라고 합니다. 배열 내부에 있는 값을 요소 라고 합니다. 비파괴적 처리란 처리 후에 원본 내용이 변경되지 않는 처리를 의미합니다. 파괴적 처리란 처리 후에 원본 내영이 변경되는 처리를 의미합니다. 1. 다음 배열들의 2번째 인덱스에 있는 값을 찾아보세요. ["1","2","3","4"] ----->[ 3 ] ["사과","배","바나나","귤","감"] ----->[ 바나나 ] ["52","273","32","103","57"] ----->[ 32 ] 2.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측해보세요. const array = [1,2,3,4] console.log(array.length) console.log(ar..
[강의 정리] if문 조건에 따라 다른 행동을 취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땐, if문과 ‘물음표’ 연산자라고도 불리는 조건부 연산자 ?를 사용하면 됩니다. if(...)문은 괄호 안에 들어가는 조건을 평가하는데, 그 결과가 true이면 코드 블록이 실행됩니다. 예시 : let year = prompt('ECMAScript-2015 명세는 몇 년도에 출판되었을까요?', ''); if (year == 2015) alert('정답입니다!'); 이와 같이 조건이 만족이 되면 출력한다. [내가 짠 if문 예시] if(a 10){ console.log('else if 조건에 맞으므로 출력합니다') }else { c..
3가지 키워드로 핵심 정리하는 포인트 switch 조건문은 값에 따라서 조건 분기를 걸어주는 조건문입니다. 조건부 연산자는 A ? B : C 와 같은 형태로 피연산자 3개를 갖는 연사자입니다. 조건분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짧은 조건문은 논리 연산자의 특이한 성질을 사용해서 조건 분기에 활용하는 코드입니다. 1. 다음 코드가 어떤 형태로 실행될지 예측해보세요. const result = (100 > 200) ? prompt('값을 입력해주세요','') : confirm('버튼을 클릭해주새요') alert(result) 실행 결과 : 상수 result의 값이 false confirm 함수를 호출하여 버튼이 생성된다. 확인을 누르면 true 취소를 누르면 false 2.[누적 예제:태여난 연도를 입력받아 ..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if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입니다. else 구문은 if 조건문 뒤에 사용하며, if 조건문이 거짓일 때 사용합니다. 중첩 조건문은 조건문을 중첩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if else if 조건문은 중첩 조건문에서 중괄호를 생략한 형태로, 겹치지 않는 3가지 이상의 조건으로 나눌때 사용합니다. 1. 다음 예제 중에서 '참입니다'를 출력하는 것은 몇 번일까요? 1 const x = 1 if(x > 4){ console.log('참입니다') } 2 const x = 0 if(x > 4){ console.log('참입니다') } 3 const x = 10 if(x > 4){ console.log('참입니다'..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저장하는 식별자입니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합니다. 변수는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식별자입니다. let 키워드를 사용해 선업합니다. 상수 또는 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선언이라고 합니다. 상수 또는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할당이라고 합니다. 1. 다음 중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는 어떤 것인가요? const let var comment 답) 1 2. 다음 중 값을 할당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는 어떤 것인가요? := = 답) 2 3. 다음 프로그램 중에서 오류를 발생하는 것을 찾고, 어떤 오류가 발생하는지 적어보세요. const r r = 10 console.log(`넓이 = ${3.14 * r * r}`) console.log(`..
5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 사용자로부터 글자를 입력 받을 때는 prompt() 함수를 사용합니다. - 어떤 자료형의 값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경하는 것을 자료형 변환이라고 합니다. -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Number() 함수를 사용합니다. -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String() 함수를 사용합니다. - 불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Boolean() 함수를 사용합니다. 1. 다음 중 사용자로부터 불 입력을 받는 함수는 어떤 것인가요? input() boolInput() comfirm() prompt() 답 ) 3 2. 다음 표의 빈칸을 채우세요. 함수 이름 설명 Number() 숫자 자료형으로 변환합니다. String() 문자열 자료형으로 변환합니다. Boolean() 불 자료형으로..
변수와 상수 변수 변수(variable)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 입니다.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경우 상품이나 방문객 등의 정보를 저장할 때 변수를 사용하죠. 자바스크립트에선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생성합니다. 아래 문(statement)은 'message’라는 이름을 가진 변수를 생성(선언)합니다. 상수 변화하지 않는 변수를 선언할 땐, let 대신 const를 사용합니다 요약 var, let, const를 사용해 변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선언된 변수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죠. let – 모던한 변수 선언 키워드입니다. var – 오래된 변수 선언 키워드입니다.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let과의 미묘한 차이점은 오래된 var를 참고해주세요. con..
1. 다음 연산자들의 피연산자가 어떤 자료형인지 적어보세요 연산자 피연산자 자료형 + (문자열 연결 연산자) 문자열 + (덧셈 연산자) 숫자 &&(AND 연산자) 불 - (빼기) 숫자 * (곱) 숫자 ||(OR 연산자) 불 2.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예측해보세요. console.log("# 연습문제") console.log("\\\\\\\\") # 연습문제 \\\\ 3.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예측해보세요. console.log("안녕하세요 "[1]) console.log("안녕하세요 "[2]) console.log("안녕하세요 "[3]) console.log("안녕하세요 "[4]) 녕 하 세 요 4.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적어보세요. 예측하는 것보다 실제로 코드를 입력해 보고 결과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