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일지
[항해99] JS 기초 Chapter3 확인 문제 풀기 (조건문 swich) 본문
3가지 키워드로 핵심 정리하는 포인트
- switch 조건문은 값에 따라서 조건 분기를 걸어주는 조건문입니다.
- 조건부 연산자는 A ? B : C 와 같은 형태로 피연산자 3개를 갖는 연사자입니다. 조건분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짧은 조건문은 논리 연산자의 특이한 성질을 사용해서 조건 분기에 활용하는 코드입니다.
1. 다음 코드가 어떤 형태로 실행될지 예측해보세요.
<script>
const result = (100 > 200)
? prompt('값을 입력해주세요','')
: confirm('버튼을 클릭해주새요')
alert(result)
</script>
실행 결과 : 상수 result의 값이 false
confirm 함수를 호출하여 버튼이 생성된다.
확인을 누르면 true 취소를 누르면 false
2.[누적 예제:태여난 연도를 입력받아 띠 출력하기] 예제(152쪽)에서 if 조건문을 swich 조건문으로 변경해서 구현해보세요.
if 문
<script>
const rawInput = prompt('태어난 해를 입력해주세요.','')
const year = Number(rawInput)
const e = year % 12
let resultif(e === 0){ result = '원숭이' }else if(e === 1){ result = '닭' }else if(e === 2){ result = '개' }else if(e === 3){ result = '돼지' }else if(e === 4){ result = '쥐' }else if(e === 5){ result = '소' }else if(e === 6){ result = '호랑이' }else if(e === 7){ result = '토끼' }else if(e === 8){ result = '용' }else if(e === 9){ result = '뱀' }else if(e === 10){ result = '말' }else if(e === 11){ result = '양' }alert(`${year}년에 태어났다면 ${result} 띠입니다`)
</script>
switch 문
<script>const rawInput = prompt('태어난 해를 입력해주세요.','')const year = Number(rawInput)const e = year % 12
let result
switch (e) {case 0:result = '원숭이'break;case 1:result = '닭'break;case 2:result = '개'break;case 3:result = '돼지'break;case 4:result = '쥐'break;case 5:result = '소'breakcase 6:result = '호랑이'breakcase 7:result = '토끼'breakcase 8:result = '용'breakcase 9:result = '뱀'breakcase 10:result = '말'breakcase 11:result = '양'break}alert(`${year}년에 태어났다면 ${result} 띠입니다`)</script>
3. '태어난 연도를 입력받아 띠 출력하기' 예제(152쪽)에서 동물 이름을 쥐부터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슬,해' 로 변경하고, 입력한 연도의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를 계산합니다. 이 둘을 합쳐 다음과 같이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세요.
<script>const rawInput = prompt('태어난 해를 입력해주세요.', '')const year = Number(rawInput)const e = year % 10
if (e === 0) { result = '경' }else if (e === 1) { result = '신' }else if (e === 2) { result = '임' }else if (e === 3) { result = '계' }else if (e === 4) { result = '갑' }else if (e === 5) { result = '을' }else if (e === 6) { result = '병' }else if (e === 7) { result = '정' }else if (e === 8) { result = '무' }else if (e === 9) { result = '기' }
const t = year % 12
if (t === 0) { tt = '신' }else if (t === 1) { tt = '유' }else if (t === 2) { tt = '슬' }else if (t === 3) { tt = '해' }else if (t === 4) { tt = '자' }else if (t === 5) { tt = '축' }else if (t === 6) { tt = '인' }else if (t === 7) { tt = '묘' }else if (t === 8) { tt = '진' }else if (t === 9) { tt = '사' }else if (t === 10) { tt = '오' }else if (t === 11) { tt = '미' }alert(`${year}년에 태어났다면 ${result} ${tt} 년입니다`)</script>
4. 다음 중에서 switch 조건문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키워드를 고르세요
- switch
- break
- default
- else
5. 다음 중에서 다른 실행 결과를 내는 코드를 고르세요.
- true ? alert('출력A') : alert('출력 B')
- false ? alert('출력B') : alert('출력 A')
- true || alret('출력 A')
- true && alret('출력 A')
'항해99 > 온보딩 스터디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JS 기초 Chapter4 확인 문제 풀기 (반복문) (0) | 2023.03.08 |
---|---|
[항해99] JS 기초 Chapter4 확인 문제 풀기 (배열) (0) | 2023.03.08 |
[항해99] JS 기초 Chapter3 확인 문제 풀기 (조건문 if) (0) | 2023.03.07 |
[항해99] JS 기초 Chapter2 확인 문제 풀기(2) (0) | 2023.03.06 |
[항해99] JS 기초 Chapter2 확인 문제 풀기(3) (0) | 2023.03.0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