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항해일지

[TIL]온보딩 스터디 Day 01 (변수,상수,자료형) 본문

항해99/TIL

[TIL]온보딩 스터디 Day 01 (변수,상수,자료형)

효환 2023. 3. 6. 20:56

 

변수와 상수

변수

변수(variable)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이름이 붙은 저장소’ 입니다.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경우 상품이나 방문객 등의 정보를 저장할 때 변수를 사용하죠.
자바스크립트에선 let 키워드를 사용해 변수를 생성합니다.
아래 문(statement)은 'message’라는 이름을 가진 변수를 생성(선언)합니다.
 
 
변화하지 않는 변수를 선언할 땐, let 대신 const를 사용합니다
 
 
var, let, const를 사용해 변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선언된 변수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죠.
let – 모던한 변수 선언 키워드입니다.
var – 오래된 변수 선언 키워드입니다.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let과의 미묘한 차이점은 오래된 var를 참고해주세요.
const – let과 비슷하지만, 변수의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변수명은 변수가 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도록 지어져야 합니다.

 

 

자료형

숫자형

let n = 123;
n = 12.345;
숫자형(number type) 은 정수 및 부동소수점 숫자(floating point number)를 나타냅니다.
숫자형과 관련된 연산은 다양한데, 곱셈 *, 나눗셈 /, 덧셈 +, 뺄셈 - 등이 대표적입니다.
숫자형엔 일반적인 숫자 외에 Infinity, -Infinity, NaN같은 '특수 숫자 값(special numeric value)'이 포함됩니다.
 
 
 

BigInt

내부 표현 방식 때문에 자바스크립트에선 (253-1)(9007199254740991) 보다 큰 값 혹은 -(253-1) 보다 작은 정수는 '숫자형’을 사용해 나타낼 수 없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이런 제약사항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암호 관련 작업같이 아주 큰 숫자가 필요한 상황이거나 아주 높은 정밀도로 작업을 해야 할 때는 이런 큰 숫자가 필요합니다.
 
BigInt형은 표준으로 채택된 지 얼마 안 된 자료형으로, 길이에 상관없이 정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BigInt형 값은 정수 리터럴 끝에 n을 붙이면 만들 수 있습니다.
 
// 끝에 'n'이 붙으면 BigInt형 자료입니다.
const bigInt = 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n;
 

 

문자

자바스크립트에선 문자열(string)을 따옴표로 묶습니다.

let str = "Hello";
let str2 = 'Single quotes are ok too';
let phrase = `can embed another ${str}`;
따옴표는 세 종류가 있습니다.

1. 큰따옴표: "Hello"

2. 작은따옴표: 'Hello'

3. 역 따옴표(백틱, backtick): `Hello`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는 ‘기본적인’ 따옴표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 둘에 차이를 두지 않습니다.
역 따옴표로 변수나 표현식을 감싼 후 ${…}안에 넣어주면, 아래와 같이 원하는 변수나 표현식을 문자열 중간에 손쉽게 넣을 수 있습니다.
 

Comments